전기차 프리히팅 기능, 겨울철 주행거리 지키는 비밀병기!

 

전기차 프리히팅 기능, 겨울철 주행거리 지키는 비밀병기!


전기차는 날씨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특히 겨울철엔 배터리 성능 저하와 히터 사용으로 인해 주행거리가 뚝 떨어지죠.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프리히팅(Pre-heating) 기능입니다.
차에 타기도 전에 차량 실내 온도와 배터리를 미리 따뜻하게 준비하는 이 똑똑한 기능은
주행거리를 늘리고, 승차감을 높이고, 심지어 배터리 수명에도 도움을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프리히팅의 개념, 작동 방식, 효율적 사용법, 탑재 모델, 주의사항까지
완벽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 프리히팅이란 무엇인가?

Pre-heating(사전 예열) 기능은 전기차에 시동을 걸기 전에
차량 내부와 배터리를 미리 데우는 시스템입니다.

왜 필요할까요?

  • 전기차는 연료 엔진의 폐열이 없기 때문에,
    히터 작동 시 전기를 직접 소모합니다.

  • 겨울철에는 히터를 틀자마자 배터리 전력의 30~40%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 배터리는 낮은 온도에서 출력과 충전 능력 모두 저하됩니다.

이 때문에 사전에 전원(콘센트 또는 배터리)을 활용해
미리 실내와 배터리를 데우는 프리히팅 기능이 매우 유용한 것입니다.


🧊 겨울철 주행거리 감소 원인

원인 설명
저온으로 인한 배터리 성능 저하 낮은 온도에서는 리튬이온의 화학 반응이 둔화되어 출력 저하
히터 작동 전기를 직접 사용하는 저항식 히터는 많은 에너지를 소모
내부 결로/서리 제거 난방과 창문 히터 사용으로 배터리 소모 가속화
타이어 마찰 증가 겨울철 도로와 겨울용 타이어의 마찰 계수 변화로 에너지 소모 증가

→ 프리히팅은 출발 전 배터리와 실내를 준비함으로써 이 모든 요소를 미리 제어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프리히팅 작동 방식

전기차 프리히팅은 차량을 외부 전원(가정용 충전기 등)에 연결한 상태에서
스마트폰 앱 또는 차량 예약 기능을 통해 사전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작동 순서

  1. 충전기에 차량 연결

  2. 차량 앱 또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서 “출발 시간 설정”

  3. 출발 10~30분 전에 자동으로 실내 난방/배터리 온도 조절 시작

  4. 운전자는 따뜻한 차에 바로 탑승

프리히팅 시 차량의 실내 온도는 약 2022°C,
배터리 온도는 약 15
25°C로 맞춰집니다.
이렇게 하면 시동 후 곧바로 최적의 주행 컨디션이 완성됩니다.


🔋 배터리 예열 vs 실내 예열

프리히팅 기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능 유형 설명
배터리 프리히팅 배터리의 온도를 데워 충전 효율 향상 및 주행거리 유지에 도움
실내 프리히팅 사람이 탑승하는 실내를 미리 데워 쾌적한 탑승 환경 제공

특히 중요한 건 배터리 예열

  • 배터리가 차가우면 DC 고속충전 속도 저하

  • 회생제동 기능도 제한됨

  • 출력 저하로 갑작스런 감속/가속 불가능
    → 배터리 예열 기능이 포함된 프리히팅 시스템이 진짜 ‘프리히팅’입니다.


🚗 프리히팅 가능한 주요 전기차 모델

제조사 모델명 프리히팅 기능 지원 여부 앱 원격 제어 배터리 예열 포함 여부
현대 아이오닉 5, 6 O O O
기아 EV6, 니로 EV O O O
테슬라 모델3, 모델Y O O O
쉐보레 볼트 EV △ (실내만 지원) O X
벤츠 EQB, EQE 등 O O O
BMW i4, iX, i7 등 O O O

→ 배터리 프리히팅이 중요한 지역(강원, 경기 북부 등)이라면 해당 여부 꼭 확인해야 합니다!


🧠 스마트한 프리히팅 설정 팁

  • 출발 시간 20~30분 전 설정이 가장 효율적

  • 충전 중일 때만 사용하면 배터리 소모 없음

  • 주간 출퇴근은 요일별 예약 기능으로 자동화

  • 앱으로 원격 제어 가능하니, 실내에서 설정 가능

  • 실내 히터 온도는 20도 정도가 적당


❗ 프리히팅 사용 시 주의할 점

  1. 충전 중일 때만 사용하세요
    → 배터리 방전 위험 방지

  2. 실내 온도 과하게 높이지 않기
    → 불필요한 전력 소비 발생

  3. 배터리 온도 표시 유무 확인
    → 프리히팅 효과 체크 가능

  4. 가정용 전력 요금 확인
    → 출근 시간 프리히팅은 피크타임 피하기


📈 프리히팅 전후 주행거리 비교

조건 프리히팅 미사용 프리히팅 사용
외기 온도 -10도 기준 230km 280km
히터 소모 전력 3.5kWh 1.5kWh
배터리 충전 속도 제한적 정상 속도 유지

→ 겨울철엔 충전 성능 유지 + 전비 효율 + 탑승 쾌적성 모두 잡는 핵심 기능


🔧 프리히팅이 없는 차량은?

프리히팅 기능이 없는 차량이라면 이렇게 준비하세요:

  • 출발 10~15분 전 차량 시동 및 히터 작동

  • 가능한 한 실내 충전기 사용 중 난방 작동

  • 히터는 에코모드로 사용

  • 차량 실내 커튼, 창문 단열 필름 부착 등으로 열 보존

  • 히트펌프 탑재 차량이라면 프리히팅과 유사한 효과 가능


💬 결론

프리히팅은 단순한 편의 기능이 아니라
겨울철 전기차를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전략 중 하나입니다.

날씨에 민감한 배터리와 히터 시스템을 사전에 준비해
출발 전부터 이미 30km의 주행거리를 절약하는 셈이죠.

차량 구매 예정이시라면 프리히팅 여부 꼭 확인하시고,
기존 차량이라면 해당 기능이 있는지 앱을 통해 사용해보세요!


🔗 관련 링크: 전기차 히트펌프 시스템, 전비의 핵심 기술

프리히팅과 함께 겨울철 주행거리 유지를 책임지는 또 다른 기술,
히트펌프 시스템을 알아보세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