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EV)는 단순히 '기름을 넣지 않아도 되는 차'를 넘어, 이제는 정숙성과 부드러운 주행감을 기준으로 차량을 선택하는 시대에 진입했습니다. 이 두 가지 요소의 핵심에는 우리가 자주 간과하는 타이어 기술이 있습니다.
내연기관차에서는 엔진 소음, 배기음, 진동이 차체 전반에 퍼지기 때문에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상대적으로 묻히곤 했습니다. 그러나 전기차에서는 그 모든 소리가 사라지면서 타이어가 만들어내는 모든 진동과 소음이 도드라지게 들리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기차 타이어가 어떻게 정숙성과 승차감을 향상시키는지, 그리고 그에 적용된 첨단 기술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전기차는 왜 ‘정숙성’이 더 중요할까?
전기차의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는
모터 기반 구동으로 인한 무소음 주행입니다.
이로 인해 차량 실내에서 느껴지는 모든 소리(노면 소음, 풍절음 등)는 기존
차량보다 훨씬 두드러지게 인식됩니다.
-
전기차는 엔진소음, 기어 변속음, 진동이 없음
-
타이어의 ‘노면 마찰음’, ‘공명음’이 실내로 직접 전달
-
특히 정차·출발·저속 구간에서 소음이 더 크게 느껴짐
따라서 정숙한 주행감을 위해 타이어 소음 제어 기술은 필수가 되었습니다.
2. 전기차 타이어에 적용되는 정숙성 기술
✅ ① 사일런트 폼(Silent Foam) 삽입
타이어 내부에 흡음 스폰지를
부착하여 ‘공명음’을 줄이는 기술입니다.
타이어가 회전하며 내부에 공기 진동이 발생하는데, 이 진동이
실내로 소음처럼 전달됩니다.
-
흡음재가 공명음 파장을 분산 및 흡수
-
주행 중 실내 소음 약 2~5dB 감소 효과
-
주요 브랜드: 콘티넨탈 ‘ContiSilent’, 피렐리 ‘PNCS’, 한국타이어 ‘Sound Absorber’
✅ ② 트레드 패턴 설계
트레드는 도로와 닿는 타이어의 바깥 무늬입니다.
패턴이 거칠면 배수성이 좋지만, 마찰음이 커질 수 있습니다.
-
블록 배열 최적화로 진동 최소화
-
트레드 패턴에 따라 접촉면 노이즈 조절
-
불규칙 패턴 적용 시 소음 분산 효과
✅ ③ 사이드월 강화 및 저진동 구조
사이드월은 타이어 측면 부분입니다. 이 부분을 유연하면서도 단단하게 설계하면:
-
잔진동 흡수 → 승차감 향상
-
도로 이음매, 요철 통과 시 충격 완화
한국타이어, 브리지스톤, 미쉐린 등은 전기차 전용 사이드월 구조를 통해 이 효과를 높이고 있습니다.
3. 승차감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
✅ ① 접지면 최적화
전기차는 일반 차량보다 무게가 무겁고, 토크가 순간적으로 강하게 작용합니다.
이로 인해 ‘노면 반응’이 매우 예민하게 실내로 전달됩니다.
-
접지면이 넓을수록 압력이 분산되어 부드러운 주행 가능
-
일정한 접촉면을 유지하는 기술로 충격을 흡수
✅ ② 저압 공기압 설계
일부 EV 전용 타이어는 조금 낮은 공기압에서도 안정적인 승차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공기압이 너무 높으면 승차감이 딱딱해지고
-
너무 낮으면 접지력 저하 및 연비 악화 발생
타이어 구조를 최적화해 부드럽고 탄탄한 주행감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4. 실제 브랜드별 EV 전용 타이어 사례
🔹 한국타이어 – iON evo
-
흡음재 삽입으로 정숙성 확보
-
고하중 구조, 회전저항 감소
-
EV 소음 특성에 맞춘 ‘Sound Absorber’ 기술 탑재
🔹 콘티넨탈 – EcoContact 6 Q with ContiSilent
-
독자적 흡음폼 삽입 기술
-
낮은 회전 저항으로 승차감 향상
-
프리미엄 세단 및 SUV EV용으로 최적화
🔹 피렐리 – P Zero Elect
-
고속 EV에 최적화된 그립력 & 정숙성
-
PNCS(Pirelli Noise Cancelling System) 탑재
-
테슬라 모델 S, 포르쉐 타이칸 OEM 타이어
5. 정숙성과 승차감을 해치는 원인들
전기차의 정숙성과 승차감은 타이어 기술로 보완할 수 있지만, 운전 습관과 환경도 중요합니다:
-
노면이 거칠면 아무리 좋은 타이어라도 소음 증가
-
급출발, 급제동이 잦으면 진동과 마모 증가
-
타이어 공기압이 불균형하면 주행 불안정성 유발
-
정비되지 않은 서스펜션, 휠 불균형 등도 영향
6. EV 전용 타이어 선택 시 체크포인트
항목 | 체크 기준 |
---|---|
소음 저감 기술 | 흡음재 탑재 여부, 트레드 소음 저감 설계 |
승차감 구조 | 유연한 사이드월, 고하중 설계 |
접지력 | 노면 반응에 맞는 트레드 폭, 컴파운드 재질 확인 |
브랜드 신뢰도 | EV OEM 적용 여부, 후기 기반 성능 확인 |
회전 저항 | 회전 저항 수치 낮을수록 정숙성과 연비 개선에 효과적 |
7. EV 타이어 유지관리를 통한 정숙성 유지법
-
정기적 공기압 점검: 저압/과압 모두 승차감 저하 원인
-
균형 조정(Balancing): 진동 원인을 사전에 제거
-
정렬(얼라이먼트): 불필요한 진동과 소음을 방지
-
로테이션: 마모 균형 유지로 주행 안정성 확보
8. 미래 타이어 기술 트렌드
① 스마트 타이어
센서를 내장해 실시간으로 마모도, 온도, 진동을 감지 → 차량 시스템과 연동해 주행 모드 자동 조절
② 공명음 제어 고무 컴파운드
진동 자체를 흡수하는 고분자 혼합 고무 적용 → 실내 정숙성 극대화
③ 무음 패턴 기술
패턴 간섭을 최소화하는 대칭형 디자인 → 풍절음과 진동 최소화